인프라

인프라

[NGINX] Nginx 이해하기 (리버스 프록시)

개인 공부 목적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왜곡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NginxNginx는 HTTP 웹서버, 리버스 프록시, 로드벨런서를 지원하는 기술이다. 글쓴이의 경우 리버스 프록시 서버의 용도로 해당 기술을 사용하였다. 설치는 다음 Nginx 문서를 참고 하였다.https://nginx.org/en/linux_packages.html#Ubuntu nginx: Linux packagesnginx: Linux packages Supported distributions and versions nginx packages are available for the following Linux distributions and versions: RHEL and derivatives Version Supported..

인프라/AWS

[AWS] AWS 프리티어 마이그레이션-2 (S3 마이그레이션)

개인 공부 목적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왜곡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S3 마이그레이션"아워메뉴" 프로젝트에는 사진 데이터 저장 및 조회 목적으로 S3를 사용하고 있다. 기존 계정에서 사용했던 S3 버킷 데이터를 새 계정 S3 버킷에 이동할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먼저 떠올랐던 것은 AWS DataSync였다.AWS DataSync는 AWS에서 지원하는 마이그레이션 서비스인데, 기존 S3 버킷 용량이 대용량이 아니기 때문에 다소 오버엔지니어링이라 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마이그레이션 도구를 사용해보는 것에 의의를 두고 진행하였다.https://docs.aws.amazon.com/ko_kr/datasync/latest/userguide/tutorial_s3-s3-cross-account-transfe..

인프라/AWS

[AWS] AWS 프리티어 마이그레이션-1 (예약 인스턴스, RDS, Elasticache)

개인 공부 목적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왜곡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진행중인 프로젝트 "아워메뉴"에 대한 AWS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한 서버 환경 구축을 진행하였다. 기존에 API 서버는 프리티어 EC2위에서 동작하고 있었고, 프리티어 기간 1년이 경과 됨과 이메일 기능과 같은 기능 확장으로 프로젝트에 대한 계정을 새로 생성하여 관리하기로 결정했다. 일부 환경은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해야한다. AWS 자격증을 취득한 만큼 제대로 AWS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1. 예약형 인스턴스사용해야하는 EC2는 API 서버 + 모니터링 서버 총 2개로 프리티어 인스턴스로는 운영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프리티어 기간에 맞추어 예약형 인스턴스를 구매하여 사용하고자 하였다.https://aws.amazo..

인프라/AWS

[AWS] AWS SAA-C03 합격 후기

AWS SAA-C03 자격증을 취득하면서 내용을 정리한 포스팅 입니다. 계기이전 부터 백엔드 서버 배포 목적으로 AWS 서비스를 이용하였다. 처음에는 강의나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AWS 리소스를 구성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대부분 사람들의 AWS를 시작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구글링으로 AWS를 사용하는 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태도의 문제가 가장 컸는데, 이해하지 못한 채로 블로그 글을 따라하기 바빴기 때문이다.그러던 와중에 AWS 에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자격증 공부와 함께 AWS에 대해 공부해보기로 하였다.내가 준비한 자격증은 AWS Solution Architect 으로 가장 범용적인 자격증을 준비하기로 하였다.자격증 준비자격증 공부 방법으로는 대부분 Udemy 강의 + 덤프 ..

인프라/AWS

[AWS] API Gateway, Lambda 및 DynamoDB를 사용한 CRUD HTTP API 생성

개인 공부 목적으로 작성된 포스팅입니다. 왜곡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HTTP API를 배포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AWS 공부를 하고 있었던 터라 사용해보지 않는 AWS 서버리스 서비스를 통해 HTTP API 배포하였다. 사용한 AWS 서비스는 API Gateway, Lambda, DynamoDB로 모두 서버리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였다. 각 서비스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실습해보자API GatewayAPI Gateway는 규모와 관계없이 REST및 Websocket API를 생성, 게시 유지, 모니터링 및 보호하기 위한 AWS 서비스이다. API 개발자는 AWS 또는 다른 웹 서비스를 비롯해 AWS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에 엑세스하는 API를 생성할 수 있다. API Gateway AP..

인프라

데이터베이스가 계속 꺼지는 경우 (시스템 용량 초과)

이 포스팅은 개인 공부 목적으로 작성된 포스팅입니다. 왜곡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몽고디비리눅스 환경에서 실행중이였던 크롤링 파이썬 프로그램에서 몽고디비 연결실패 에러가 발생하였다. sudo systemctl status mongod 먼저 몽고 디비가 켜저 있는지 확인하였다.몽고 디비가 꺼져 있었다.. 다시 몽고 디비를 실행하고 파이썬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sudo systemctl startmongod 동일한 몽고디비 연결 실패 에러가 발생하였다. 몽고디비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직감할 수 있었다. 디스크 사용량혹시나 하는 마음에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해봤다.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tmpfs ..

인프라

[NGINX] CORS, Mixed Content

이 포스팅은 개인 공부 목적으로 작성된 포스팅입니다. 왜곡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개발을 하던중 cors에 관해서 이해가지 않는 부분이 생겨 기록한다.CORS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CORS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 - HTTP | MDN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 is an HTTP-header based mechanism that allows a server to indicate any origins (domain, scheme, or port) other than its own from which a browser should permit lo..

인프라/도커

CI/CD 구축 (github action+Spring boot + mysql + docker-compose) (2)

이 블로그는 개인의 공부 목적으로 작성된 블로그입니다. 왜곡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CD전 포스팅으로 우리는 CI를 이해했다. 그러면 CD는 뭘까 CD는 지속적 배포이다. CD는 비용문제와 연관이 높은데 일반적인 배포상황을 생각해보자 한번 배포하고 변경사항이 없다면 좋겠지만... 기능 추가, 리펙토링를 위해 여러번 배포과정을 겪여야한다.(프론트와 연결할때도 기능이 완료될때마다 배포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배포를 하는 건 어느정도 비용드는 작업이다. 대표적으로 ec2에 접속하여 변경된 코드를 받아 빌드하고 실행하는 프로세스만 생각해봐도 그렇다. 그러면 자동으로 배포할 수 있다면 어떨까? 비용을 아낄 수 있다. 이는 데브옵스와 관련 있는 내용인데 회사차원에서 이러한 자동화 구축으로 개발자가 ..

인프라/도커

CI/CD 구축 (github action+Spring boot + mysql + docker-compose) (1)

이 블로그는 개인의 공부 목적으로 작성된 블로그입니다. 왜곡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CI/CD백엔드 개발을 학습하다 보면 CI/CD라는 개념을 듣게 된다. CI/CD를 검색해보면 지속적 통합, 배포라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나온다. 더 찾아보면 통합과 배포에 각각 프로세스가 존재해서 좋은 유지보수가 가능한 개발을 할 수 있다고 한다. 실제로 인터넷 상에서는 좋은 유지보수와 같은 개발 형태보다는 배포와 통합을 자동화한다는 의미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당연히 자동화 하면 좋겠지? 라는 생각이 들지만 기존 협업 방식에 대해 생각해보면서 CI/CD를 최대한 쉽게 이해해보자기존 협업의 방식협업을 생각해본다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github이다. 깃허브와 같은 SVM 형상 관리 툴로 협업을 진행하..

인프라/도커

도커 데스크탑, 젠킨스 설치

이 블로그는 개인의 공부 목적으로 작성된 블로그입니다. 왜곡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1. 도커(Docker) 도커란 컨테이터라는 새로운 개념을 통해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OS와 독립시키서 개발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젝트이다. 이때 기존의 가상화 방법과 다르게 컨테이너가 커널을 공유함과 동시에 필요한 리소스들만 가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가상머신을 사용하는 것 보다 가벼운 용량을 지원한다. 2. 설치 환경 본인 환경: window 10 (19045.3803), WSL2 도커에서 명시한 개발환경과 동일하여 기존의 개발환경에 도커 데스크탑을 설치 https://docs.docker.com/desktop/install/windows-install/ Install Docker Desktop on Win..

bluesparrow
'인프라' 카테고리의 글 목록